아래에서는 2024 코로나 예방접종 가격과 예약방법, 무료 대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독감백신과 코로나백신 동지 접종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차
2024 코로나 예방접종 가격
질병관리청에서는 매년 독감과 함께 코로나 예방접종을 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접종 시기는 따로 없지만 독감 유행이 돌기 시작하는 겨울이 되기 전 10~11월이 코로나 예방 접종을 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 접종 대상: 전 국민(생후 6개월 이상)
- 접종 가격: 15,000원~30,000원
- 접종 간격: 이전 접종일로부터 약 3개월 이후
매년 1회 접종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면역력이 취약한 고위험군은 연 2회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고위험군에게는 무료 백신접종 사업이 실시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글 아래 자세히 정리해 두었으니 끝까지 집중해 주시기 바랍니다.
예방접종 증명서 발급 방법
코로나 19 접종 증명서는 '정부 24' 홈페이지 민원서비스 탭에서 간편하게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자 예진표 작성 방법
2024년부터 병원에 방문하기 전 온라인으로 전자 예진표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전자 예진표를 미리 작성하시면 의료기관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어 편리합니다. 아래에서 예진표를 바로 작성할 수 있으니 꼭 작성하고 병원에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 전자예진표는 작성 당일에만 유효하니 의료기관에 방문하는 날짜에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독감 백신과 코로나 백신을 함께 맞을 경우 2개의 전자 예진표를 작성하셔야 합니다.
무료 대상
코로나 백신 무료대상은 65세 이상 노인과 감염취약시설 입소자입니다.
접종 대상 | 접종 날짜 | |
---|---|---|
65세 이상 어르신 | 75세 이상(~1949.12.31) | 2024.10.11~2025.4.30 |
70~74세(1950.1.1~1954.12.31) | 2024.10.15~2025.4.30 | |
65~69세(1955.1.1~1959.12.31) | 2024.10.18~2025.4.30 | |
면역저하자, 감염취약시설 입소자(생후 6개월 이상의 국민) | 2024.10.11~2025.4.30 | |
지원 백신(JN.1 변이 대응 1가백신) | 화이자 | |
모더나 | ||
노바백스 |
* 감염취약시설 입원자의 경우 의료기관 진단서 혹은 소견서, 시설 입소 확인서 등의 증빙자료가 필요합니다.
무료대상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보건소나 진료소, 위탁의료기관에서 접종을 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 백신 예약 방법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코로나 백신을 지원하는 의료기관을 찾을 수 있습니다.
현재 거주지를 입력하시고 원하시는 코로나 백신을 선택하시면 접종할 수 있는 기관이 나옵니다. 화면에 나와있는 전화번호로 전화하셔서 예약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예약이 안 되는 경우에는 직접 방문하셔서 접수하시면 됩니다.
독감, 코로나 동시접종
질병관리청과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독감 백신과 코로나 백신은 동시 접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동시에 접종하였을 때의 안정성과 유효성에 이상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따라서 감염에 취약한 고위험군 뿐만 아니라 일반 성인도 두 백신을 모두 접종하시는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혹시 주사를 맞은 후 몸살 등의 부작용이 걱정되시는 분들은 기간 상관없이 두 백신을 다른 날에 접종하셔도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4 독감 예방접종 가격 비교 사이트, 병원, 전자 예진표, 무료대상
아래에서는 2024 독감 예방접종 가격을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와 전자 예진표 작성 방법, 무료 대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독감 무료접종 대상자 확인하기 2024 독감 예방접종
ayana-wonyoung.tistory.com
모바일 건강보험증, 신분증 발급 방법 (+ QR코드 사용 방법)
2024년 5월부터 의료기관을 방문할 때에는 무조건 신분증을 지참하셔야 합니다. 신분증 지참에 익숙하지 않아 챙기는걸 깜박하신다면 이 글을 주목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래에서는 건강보험증과
1.ayanawonyoung.com
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신청 방법
나도 모르게 새어나간 병원비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건강보험 공단에서는 매 년 의료비 초과 지불분을 돌려주는 '건강보험 환급'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를 통해 1인당
1.ayanawonyoung.com
반려동물 의료비 지원 신청방법(최대 100만원 지원)
반려동물을 키우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의료비 걱정을 해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이러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정책을 펼쳤습니다. 오늘은 반려동물 의료비 지원사업의 신청조
2.ayanawonyoung.com
'정부지원,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인서명사실확인서 발급 ,용도, 주민센터, 인감증명서 차이 (0) | 2024.11.13 |
---|---|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조건, 혜택, 중도해지, 하나은행 IBK 기업은행 (0) | 2024.11.11 |
임산부 노인 119 안심콜 서비스 신청 방법, 이용 방법 (0) | 2024.11.07 |
2024 독감 예방접종 가격 비교 사이트, 병원, 전자 예진표, 무료대상 (0) | 2024.10.25 |
2025 휴가샵, 근로자 휴가비 지원사업 신청 방법, 혜택 총정리 (0) | 2024.05.17 |